MY MENU

생쥐

COMMON NAME : 생쥐(MOUSE)
SCIENTIFIC NAME : Mus musculus
CLASS/DRDER/FAMILY : 쥐목 쥐과

특징
  • 몸길이 6.5∼9.5㎝, 꼬리길이 6∼10.5㎝, 몸무게 12∼30g이다. 몸의 등쪽은 회갈색이고, 배쪽은 야생이나 반야생의 아종은 흰색, 집에서 사는 종은 등쪽보다 연한 색이다.
생활사
  • 생쥐는 전방 15cm 이상을 볼 수 없을 정도로 시력이 미약하고 색맹이나 후각, 미각, 청각, 촉각은 매우 민감하고 뛰어나다. 새로운 음식 및 물체에 대하여 호기심이 많으며 나무나 벽 등에 잘 기어 오를 수 있고 수영도 할 수 있다. 옥내, 옥외 어디든지 먹이와 가까운 곳에 둥지를 만들고 생활하는데 행동반경은 3 ~ 6 m 정도로 매우 국한적이다.
  • 잡식성이나 곡물의 낟알을 하루 3g 섭취하며 신선하고 깨끗한 음식을 좋아한다. 수분은 하루에1.5㎖ 섭취하지만 음식내의 수분 섭취로 거의 물이 없는 곳에서도 생존이 가능하다. 인가나 그 주변의 논·밭·들·숲에서 살며 낮과 밤에 45∼90분을 주기로 활동한다. 무엇이나 먹는 잡식성으로 먹이에 대한 적응력이 강하다. 영하의 일조(日照)가 없는 상태에서도 생활이 가능하여 온도에 대한 적응력도 강하다.
  • 거의 1년 내내 번식하며 임신기간은 19∼20일이다. 집안에서는 1년에 5∼6회 새끼를 낳으며 한 번에 5∼6마리를 낳는다. 곡물저장고에서는 1년에 8∼10회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눈을 감고 있으며 털이 없으나, 18일이 지나면 이유하고 6주 뒤에는 번식을 시작한다. 수명은 3년이나 사육할 경우에는 6년의 기록이 있다. 유럽산 아종을 가축화하여 실험용이나 애완용으로 키우며, 몸색은 흰색이나 검정 등 여러 가지이고 온몸에 털이 없는 <누드마우스>까지 있다. 원산지는 지중해지방에서 아시아 중부, 중국에 이르는 지역이라고 생각되지만 현재에는 열대에서 극지까지 사람이 살고 있는 모든 지역에 분포한다.
Black rat 지붕쥐(곰쥐)

COMMON NAME : Black rat 지붕쥐(곰쥐)
SCIENTIFIC NAME : Rattus rattus
CLASS/DRDER/FAMILY : 쥐목 쥐과

특징
  • 집웅쥐 성체의 체중은 150 ~ 250g으로 시궁쥐보다 약간 가볍고 동체가 날씬하다. 두동장은 16 ~ 20cm이고 미장은 19 ~ 25cm로서 두동장보다 긴 것이 시궁쥐와 구별할 수 있는 가장 뚜렷한 특징이다. 눈은 크고 돌출되어 있고 코는 뾰족하며 귀는 시궁쥐보다 크며 거의 털이 없다. 체색은 흑색형으로 배면이 광택성 흑색에 복면은 흑회색인 것, 갈색형으로 배면이 갈색이고 복면이 백색인 것, 역시 갈색형으로 배면이 갈색이나 복면은 회색인 것 3 종류가 있으며 털은 매끈하고 부드럽다. 변은 끝이 뾰족한 방추체형으로 크기는 12.5mm이다.
생활사
  • 집웅쥐는 시력이 미약하고 색맹이나 후각, 미각, 청각, 촉각은 매우 예민하게 발달되어 있다. 행동이 민첩하고 활발하며 수영은 할 수 있으나 물을 좋아하지는 않는다. 잡식성으로 주로 과일, 견과류, 콩, 야채를 하루에 28g 섭취하고, 30㎖의 물을 먹거나 수분 함유가 많은 음식에서 취하기도 한다. 의심이 많고 새로운 대상이나 환경에 대하여 경계심이 많으며 벽, 지붕 밑, 덩굴식물, 나무 등에 집을 짓는데 주로 도시, 특히 항구 주변에 높은 밀도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고층 건물이나 대형 건물에서는 시궁쥐보다 높은 밀도를 보인다. 행동 반경은 15 ~ 30m로 비교적 크고 야행성이다. 수명은 9 ~ 12달이며 생후 2 ~ 3달이면 임신이 가능하고 임신기간은 22일이다. 한 배에 6 ~ 10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1년에 최대 6번 임신이 가능하다.
Brown rat 시궁쥐(집쥐)

COMMON NAME : Brown rat 시궁쥐(집쥐)
SCIENTIFIC NAME : Rattus norvegicus
CLASS/DRDER/FAMILY : 쥐목 쥐과

특징
  • 집쥐라고도 한다. 몸길이 22∼26cm, 꼬리길이 17∼20cm, 몸무게 300∼400g이다. 몸집은 크고, 귀는 작으며, 꼬리는 몸길이보다 훨씬 짧다. 털은 길고 늙은 개체일수록 거칠며, 꼬리에는 짧고 굵은 털이 드문드문 나 있다. 몸빛깔은 등면이 갈색이고, 배면과 네 다리는 회색을 띤 흰색, 검은색, 검은빛을 띤 갈색 등 여러 가지이다.
생활사
  • 서식장소는 인가·창고 가축사·하수구 등과 인가 부근의 경작지로서 사람에게 의존하여 생활하고 있다. 야행성으로 가주성(家住性) 중에서 가장 물을 좋아하며, 나무타기를 잘하고 벽이나 기둥 등도 잘 탄다. 성질은 거칠고, 집단생활에 잘 적응하며, 사회행동은 복잡하다. 잡식성으로 곤충이나 새의 알, 물고기, 감자, 옥수수, 콩, 땅콩, 쌀 등을 좋아한다. 연 3∼5회 출산하며, 임신기간 약 24일로 한배에 4∼10마리의 새끼를 낳는데, 출산의 횟수는 암컷의 나이와 사회적 순위에 따라 다르다. 새끼는 생후 약 80일이면 성숙한다. 중앙아시아 원산으로, 18세기 초에 유럽으로 건너가 널리 퍼졌는데, 유럽으로 들어간 시기는 곰쥐(R. rattus)보다 훨씬 늦다. 세계 각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Black-striped fieid mouse(동물쥐)

COMMON NAME : Black-striped fieid mouse(동물쥐)
SCIENTIFIC NAME : Apodemus agrarius ningpoensis
CLASS/DRDER/FAMILY : 쥐목 쥐과

특징
  • 몸의 크기는 중간보다 크고 몸길이는 90~120㎜이며 뒷발의 길이는 18~22㎜이다. 등면의 체색은 적갈색이고 몸 아랫면은 회백색이며 등면의 검은 줄은 머리로부터 꼬리의 아랫쪽까지 달하였다. 꼬리는 몸길이보다 언제나 짧으며 굳은 털이 있다. 귀는 작아서 앞으로 접어도 눈에 닫지 못한다. 앞발은 짧고 엄지발가락은 퇴화하여 짧지만 다른 발가락은 잘 발달되어 있다 .
생활사
  • 등줄쥐의 서식장소는 여러가지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경지 및 황무지, 산밑, 산중턱, 산정상에 이르기까지 어는 곳에서나 과히 습하지 않는 곳이면 살 수 있는 종류이다.굴은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단하며 S자를 거꾸로 놓은 것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쥐구멍은 1개있고 굴의 면적은 0.8×1m이며 굴의 총 연장은 2.2m이다. 보금자리는 굴의 말단부에 위치하여 있으며 크기는 10×12cm의 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보금자리의 재료는 수수의 잎, 조의 잎, 화분과나 사초과 식물의 잎을 잘게 씹지도 않고(엉성하게) 거칠은 것을 사용하는데 중량 은 60g이다. 월동용 식량의 저장창고는 별도로 준비하는 습성이 없고 보금자리의 밑에 200~300g정도 밖에 저장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식량이 부족하므로 엄동설한에도 먹이를 찾아 헤매게 된다. 먹이의 종류는 30여종의 곡물과 사초과 화분과 식물의 종자와 같은 것이다. 배설물의 처리장소는 일정하지 않으며 따로 준비하지 않는다. 번식은 1년에 4회의 새끼를 낳으며, 1회에 낳은 새끼의 수는 4~8마리이다.
  • 환경부
  • 보건복지가족부
  • 식품의약품안전청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질병관리본부
  • 농림수산식품부
  • 한국식품공업협회
  • 한국방역협회
  • 환경부
  • 보건복지가족부
  • 식품의약품안전청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질병관리본부
  • 농림수산식품부
  • 한국식품공업협회
  • 한국방역협회